728x90
O사 Case
- 챗봇 : 웹, 카카오톡, 톡톡, 텔레그램 연동/구현 가능
- 규격 제한 존재
- 카카오톡: 이 규격에 맞추세요 하는 특정 매뉴얼 존재 X, 카카오톡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라인만 존재
- 텔레그램: 캐로셀 불가, 상용화된 적 없음
- 규격 제한 존재
- 보이스봇 흐름도
- 인바운드 : 고객 -> sk, lg, kt 통신사(대표번호 1577-0000) -> 콜인프라 에서 1~3 중 하나로 연결시켜 줌 1) 상담사, 2) 고객 3)보이스봇 -> end session (경우에 따라) 상담사
- 통신사 -> 콜인프라
- 아웃바운드 : 보이스봇 <ㅡ> 솔루션 <ㅡ> 콜인프라 --> 통신사
- 솔루션 내 ACS에서 DB등록하고 발신처리 실행하면 콜인프라에 등록되며 보이스봇과 콜인프라 솔루션 3곳에서 계속 순환 처리됨
- 기본료 + 엔진 사용료 (STT(15초당 과금) TTS(글자 당 과금) NLU ) + 고객사 입장에선 통신비 발생
- 단순 설명식인 경우: OB -> TTS엔진 -> 종결
- 인바운드 : 고객 -> sk, lg, kt 통신사(대표번호 1577-0000) -> 콜인프라 에서 1~3 중 하나로 연결시켜 줌 1) 상담사, 2) 고객 3)보이스봇 -> end session (경우에 따라) 상담사
- 프로세스
- 수주 확정(영업) -> 시나리오 협의 -> 시나리오 정의 -> 시나리오 저작 -> 테스트 -> 론칭
- (협의) 영업or컨설팅 담당자가 고객사에서 질문/답변 받음 -> (정의) 저작자 시나리오 정제(말투 등) -> 저작(개발팀 및 고객사 Comm) 동적노드 작업은 개발팀에서 수행
- AI엔진: 3rd party 업체의 AI엔진 사용
- OB보이스봇
- 대화데이터 1개 #음성예외사항 / Rule_Empty / 시간 초과 = 묵음인 경우
- 시나리오 저작 유형 차이
- 대화데이터는 인텐트(질문 의도)를 바탕으로 엔티티(예문, 키워드) 분석으로 정확한 답변 출력
- 스토리/캔버스는 진행되는 흐름을 정확하게 지정하도록 할 수 있음
- 저작 단계
- 전달 변수: 정해진 건 없고 개발자와 협의한 변수명
- #: 기본응답인지 파라미터인지
- 도입인사/인트로(기본 응답): 파라미터 지정, 후속 동작(스토리 이동 지정), 파라미터 등록에 프롬프트 문구 추가,
- 저작자는 전달변수만 작업, Script 의 값은 개발팀에서 작업
- 챗봇과 다르게 룰기반으로 명확한 대답아니면 못알아 듣게 설정해 놓아서 유사한 대답이라도 알아들을 수 없게 해 놓음
728x90
'AI, 머신러닝, 딥러닝, 데이터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카카오톡 비즈니스 채널을 통한 AI 챗봇 및 채팅 연동 (0) | 2025.03.04 |
---|---|
AI BPO사업 전망 (0) | 2025.02.28 |
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활용하여 논문 쓰기 (0) | 2024.12.07 |
AI-900 인공지능 자격 시험, 결과 합격 (0) | 2023.12.03 |
AI 오디오처리 (0) | 2023.11.28 |